02. 파이썬 자료형 | 숫자형, 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인덱싱, 슬라이싱, append 메소드
숫자형 숫자형 데이터는 정수형(int)와 실수형(float)으로 구분된다. 자연수와 정수는 정수형으로 정의하고, 소수점이 있는 숫자는 실수형으로 정의한다. 자료형을 확인할 때는 type() 함수를 사용한다. var1을 확인해보면, 정수형을 나타내는 int가 나오고 var2를 확인해보면, 실수형을 의미하는 float이 나온다. var3에는 정수 1과 2를 더한 값을 저장하고, var4에는 정수3과 실수 0.14를 더한 값을 저장한다. 위의 예제에서는 정수형과 정수형을 더하면 정수형(var3)이 되지만 정수형과 실수형을 더하면 실수형(var4)이 됨을 알 수 있다. 문자열 문자열은 큰 따옴표(" ") 또는 작은 따옴표(' ') 안에 알파벳, 한글, 숫자, 공백, 기호 등을 입력해 사용한다. str1 안에 E..
2021. 2. 14.
02 파이썬 자료형 | 문자열, Syntax Error
[자료형] 개발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과 역할에 따라서 자료를 구분했습니다. 이렇게 구분된 종류를 자료형(data type)이라고 부릅니다. 가장 기본적인 자료형으로는 문자열, 숫자, 불이 있습니다. 문자열(string): 메일 제목, 메시지 내용 등 ex) "안녕하세요", "Hello World" 숫자(number): 물건의 가격, 학생의 성적 등 ex) 52, 273, 103.32 불(boolean): 친구의 로그인 상태 등 ex) True, False 자료형 확인하는 방법 type() 함수 사용하기 >>> print(type("안녕하세요")) >>> print(type(273)) "안녕하세요"는 문자열이므로 string의 약자인 'str'이 자료형으로, 273은 숫자 중에서도 정수형이므로..
2021.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