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환경 - Google Colab(Jupyter Notebook 환경 기반)
* 구글 코랩을 사용할 때, 무료 계정의 경우 12시간이 넘으면 세션이 종료되는 점을 주의할 것!
*구글 코랩 단축키
[Enter] : 코드셀 줄바꿈(각 줄이 하나의 독립된 명령을 나타낸다)
[Enter] x 2 : 텍스트셀 줄바꿈
[Ctrl + Enter] : 현재 선택한 블럭 실행
[Shift + Enter] : 현재 선택한 블럭 실행하고 다음 블럭으로 넘어감
[Ctrl + F9] : 모든 블럭 실행
[Ctrl + /] : 현재 라인 주석
Python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객체(object)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변수, 자료형, 함수 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데이터 입력과 출력
코랩을 실행하고, [File] 메뉴에서 [New notebook]을 선택하면
코드 셀의 커서가 반짝거리면서 활성화 된다.
[입력] 1 + 2
[연산] CPU에서 처리
[출력] 3
과정을 코드로 작성한 것이다.
변수에 저장
숫자 5를 변수에 할당해보자.
위의 예제에서는 숫자 5를 var1이라는 변수에 할당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등호(=)는 같다는 뜻이 아니라, '우변의 값을 좌변에 할당한다'는 뜻이다.
변수 var2에는 20을 할당했다.
변수끼리 더한 값을 다른 변수에 할당할 수도 있다.
var1 변수와 var2 변수를 더하면,
두 변수에 할당되어 있는 값들을 더한다.
화면에 출력
파이썬 내장 함수인 print 명령을 사용해 화면에 출력한다.
print 함수의 괄호 안에 화면에 표시하려는 대상을 입력한다.
괄호 안에는 변수를 입력할 수도 있고,
연산식(var1 + var2)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이썬에서 따옴표 안에 입력하는 글자 또는 숫자는 문자열로 인식한다.
큰 따옴표(" ")와 작은 따옴표(' ')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다음 번에는 파이썬의 자료형에 대해서 말해보고자 한다.
숫자형, 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를 설명하고,
인덱싱과 슬라이싱, append 메소드에 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 인공지능 예제, 회귀문제, California housing : Regression (0) | 2021.02.14 |
---|---|
02. 파이썬 자료형 | 숫자형, 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인덱싱, 슬라이싱, append 메소드 (2) | 2021.02.14 |